한국인이라면 대개 각자 그 고유한 성씨마다 일찍이 조상들 이짜 맞춰놓은 일정한 항렬(돌림자)이 있게 마련이다.
성씨와 가문에 따라 독특한 방법의 순서와 글자가 있을 수 있으나 대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예가 가장 일반적이다.
가문과 항렬
말하자면 오행 : 상생의 연속이자반복인데, 할아버지의 항렬자가 이름 끝자가 항렬이 된다. 이렇게 계속되어나가다 손자의 이름 다음에 오는 중 손자는 자동적으로 원리에 따라 나무목이 들어였다면 아버가는 글자를 쓰게 되는데 이때는 그 위치가 할아버지의 반대, 즉 이름의 윗글자로 자리 잡게 되며 글자만 바뀌게 된다.
그런데 사실은 이 항렬자에 함정(걸림돌)이 있다는 것이 필자의견해이다. 가령, 항렬자가 성()의 글자와 작명학상 무리가 없다면 나머지 한 글자만 잘 갖춰 지으면 되겠지만, 대개의 경우 아무리 좋은 글자를 채워 넣어도 '수리오행 ' 이 맞지 않거나 '소리 오행 ' 이 결여되어 도무지 좋은 이름이 산출되지 않는 예가 너무도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의 깊게 살펴보면, 특정한 어느 성씨를 짚어놓고 따져볼 때 어떤 항렬자를 쓰는 형제· 친척계열의 대에서는 크게 번창하여 이름나고 높은 관직에 부자 소리를 듣는 이가 많이 나는가 하면 어느 항렬의 대에 가서는 뚜렷이 알려진 이조차 없을 만큼 침체하는 경우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반드시 족보상 예고된 글자(항렬=돌림자)를 꼭 써야 될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그 글자를 고집하지 않는 게 현명하다고 말하고 싶다.
이를테면 항렬자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조상을 욕되게 한다거나 거스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또 그 집안의 자손이 안되는 것도 아니라는 이야기다. 오히려 작명학상 그 항렬자가 길하지 못하다거나 융통성이 결여되었다면 과감히 다른 글자를 써서 부르기도 쉽고 내용도 좋은 이름으로 발전시켜나가는 현명한 지혜가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이름은 한번 지어 호적상 등기를 마치면 쉽게 고칠 수 없다는 것도 염두에 두어 처음부터 심사숙고하여 지을 필요가 있다. 호랑이는 죽어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 이름을 남긴다라고까지 하지 않았던가.
사주와 이름의 관계
'사주' 란 '팔자' 라고 속칭하는 바 '네 기둥 여덟 글자 '라는 의미다. 곧 태어난 해(태세)와 달(월건), 날짜(일진), 시간(각)의 간지 사성을 일컫는다. 그래서 결혼예식에 앞서 '사주단자'라는 걸 보내는 풍습도 있는데 이는 신랑의 '생년월일시 '를 사성으로 적은 쪽지로, 혹시 궁합을 맞춰보려면 신부의 사주와 함께 보라는 뜻이 들어 있는 편지인 셈이다.
'사주팔자는 속이지 못한다 ' 든지 '피하지 못할 운명 '으로 여겨온 전래 풍설에서 비롯된 이 사주 관념 또한 동양 삼국 사회에서는 이미 깊고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일반인이 자녀를 낳고 그 이름을 짓는 데 있어서 새삼사주공부까지 해야 한다는 건 아주 큰 무리가 아닐 수 없다.
또 사주에 의한 궁합 없이 연애결혼을 하고도 잘사는 이가 비일비재하듯이, 사주와 무관하게 잘 지은 이름만을 가지고도 출세·영달하고 부귀· 발전한 이가 수없이 많더라는 게 필자의 경험에서 얻은 결과이다.
예를 든다면, 법학을 공부하고서도 가수가 되는 이가 있고 의학을 공부하고서도 배우가 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코미디언을 하다가도 국회의원을 하는 이가 있고 배우를 하다가도 대통령이 되는 게 세상이다.
가령, 우리나라는 어언 고학력 사회로서 대다수가 대학 출신이라는데, 자기의 전공과목을 살려 직장을 갖거나 출세하는 이가 몇퍼센트나 되겠는가를 생각해보라. 사주는 전적으로 전문가의 손에 맡기자는 이유가 이러하다. 예를 들어, 의학을 배워야 하는 사주에도 뛰어난 정치가가 있고 법학 쪽에 기울어진 운명(사주)이라 하더라도 제조업체 사장으로서 성공하더라는 것이다.
그러기에 이 책에서는 이 분야에 대해 일단 접어두는 것을 원칙으로 하려 한다.가방이 크다고 공부 잘하는 것도 아니고 결석을 하지 않는다고 장학생이 되는 것도 아니라는 이치를 좀 널리 수용했으면 하는 것이다.
'알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유내강으로 감정이 풍부해 상대방의 말을 잘 들어준다. (0) | 2022.05.21 |
---|---|
신중한 승리자 (0) | 2022.05.20 |
획수로 본 통계학 (0) | 2022.05.19 |
좋은 글자 선정 및 배치 (1) | 2022.05.18 |
한국인과 이름 유교의 전통 (0) | 2022.05.16 |